2025년 아기 15~18개월까지 엄마가 반드시 알아야 할 것
1. 수유 및 식사 변화돌 이후 수유는 점차 보조적 역할로 바뀌며, 15~18개월 사이에는 가정식 중심으로 식사가 안정되도록 도와주시는 것이 좋습니다.수유는 보통 하루 우유(모유 또는 분유) 400~500ml 수준으로 줄여가시는 것을 권장합니다.가정식은 부드럽게 익힌 채소, 두부, 잘게 썬 고기·생선, 곡류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식재료를 경험하게 해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피해야 할 음식: 꿀, 통째 견과류, 팝콘, 큰 조각의 포도·방울토마토, 날달걀·생고기 등은 질식 또는 식중독 위험으로 피하시는 것이 안전합니다.수유 중단 시기는 가정과 아기 상태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12~18개월 사이에 수유 횟수를 줄여가시고, 만 18~24개월 사이에 완전한 단유를 목표로 하시는 경우가 많습니다.2. 수면 패..
2025. 9. 2.
2025년 아기 돌~15개월까지 엄마가 반드시 알아야 할 것
1. 수유 및 식사 변화돌 이후에는 모유나 분유의 비중이 점차 줄어들며 일반식 중심으로 옮겨가시는 것이 일반적입니다.수유는 하루 대략 400~500ml 전후로 자연스럽게 감소하도록 유도해 주시면 좋습니다.식사는 하루 세 끼와 1~2회의 간식으로 구성하시고, 부드럽고 잘게 썬 식재료 위주로 제공해 주시면 좋습니다.포함하면 좋은 재료곡류: 쌀, 오트밀, 잘 익힌 국수 등을 권장드립니다.단백질: 두부, 계란 노른자, 잘 삶은 흰살 생선, 충분히 익힌 다진 쇠고기·닭고기를 권장드립니다.채소·과일: 단호박, 브로콜리, 당근, 바나나, 아보카도 등 부드러운 종류를 권장드립니다.유제품: 무가당 요거트, 저염 치즈 소량을 권장드립니다.피해야 할 재료 및 형태꿀: 보툴리눔균 위험으로 돌 전후에는 피하시는 것이 안전합니다..
2025. 9. 1.
2025년 신생아 출산 후 50~100일 엄마가 반드시 알아야 할 것
📝 요약생후 50~100일 아기는 수유량과 수면 패턴에 큰 변화가 생기며, 발달 속도도 빨라집니다.밤잠이 늘어나고, 목 가누기와 옹알이, 웃음이 발달하면서 부모와의 상호작용이 더욱 활발해집니다.또한 시각·청각·촉각 자극이 아기의 발달에 큰 도움이 되므로, 적절한 놀이와 교감이 필요합니다.이번편 에서는 수면량, 수유량, 아기 발달변화, 놀이, 추천 육아용품 및 이 시기에 필요한 병원 진료 목록에 대해 정리했습니다.1. 수유량 변화생후 2개월 후반(50~70일)1회 수유량은 100~150ml, 하루 총량은 700~900ml 정도가 평균입니다.수유 간격은 3시간 내외로 안정화되며, 밤잠이 늘어나는 아기들은 밤중 수유 횟수가 줄어들 수 있습니다.밤잠의 경우 4~6시간까지도 한번에 자는 아기도 있으니, 아기가 ..
2025. 8. 29.
2025년 신생아 출산 후 0~50일 엄마가 반드시 알아야 할 것
요약조리원 퇴원 후 집으로 돌아온 아기와의 생활은 낯선 도전의 연속입니다. 특히 생후 50일까지는 아기의 수면, 발달, 수유 패턴이 빠르게 변화하기 때문에 부모의 세심한 관찰이 필요합니다. 이번 편에서는 아기의 발달 과정, 모로반사, 수면 시간 변화, 분유 섭취량 기준, 수유 시 주의해야 할 점, 그리고 아기 배 마사지 방법까지 정리했습니다.아기 발달 과정생후 0~2주 (조리원 퇴원 직후)수면 : 하루 대부분(16~20시간)을 수면으로 보냅니다. 눈을 뜨는 시간은 하루 1~2시간 정도이며, 식사 시간에만 잠시 눈을 뜨는 정도입니다. 초점은 잘 맞지 않습니다. 당연한 것이므로 놀람이나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됩니다.표현 : 울음으로만 의사 표현이 가능합니다. 온도, 기저귀, 배고픔, 불안함, 부모의 존재 파악..
2025. 8. 28.
2025년 산후 조리원 퇴원한 날에 무조건 해야 할 것
요약출산 후 조리원 퇴원 당일은 산모와 아기의 건강 점검, 출생신고, 각종 국가 및 지자체 지원 제도 신청 등 중요한 일정이 몰려 있습니다.특히 부모급여, 아동수당, 출산지원금, 전기·수도요금 감면과 같은 지원은 신청 시기에 따라 지급 시점이 달라지므로, 퇴원 당일 동선을 미리 계획해 두는 것이 필요합니다.이번 편에서는 조리원 퇴원 당일에 반드시 거쳐야 할 동선과 주요 국가 지원 제도를 정리했습니다.산후 조리원 퇴원 당일 첫 번째 방문지는 병원산모 퇴원조리원 퇴원 시, 일반적인 경우 아기와 함께 출산한 병원으로 이동하여 엄마의 회복 상태를 확인하고 상처의 감염 여부, 소독, 복용할 약 등을 처방받게 됩니다.아기 퇴원 절차아기의 건강 상태를 병원 진료로 최종 점검 후 퇴원하게 됩니다. 예방접종 여부, 황달..
2025. 8. 27.
2025년 출산과 산후조리원, 꼭 알아야 할 것 (출산 D-day ~ 산후 2주)
요약출산은 임신의 마지막 관문이자 육아의 첫 시작으로, 하나에서 둘이 되는 역사적인 순간입니다.입원과 출산, 아기와의 첫 만남까지 전 과정이 정신없이 진행되며, 이후 엄마와 아기는 퇴원과 동시에 산후조리원으로 이동해 회복과 초기 육아를 경험하게 됩니다.이번 글에서는 출산 과정, 무통주사 시점, 아기 첫 만남, 산후조리원 생활, 준비물과 주의사항을 정리했습니다.출산 진행 과정입원과 초기 검사출산은 자연분만, 제왕절개, 유도분만으로 크게 3가지로 나뉩니다.자연분만의 경우 아기가 세상으로 나올 준비가 되었을 때 자연스럽게 출산하는 방식이며, 출산 예정일 즈음 진통이 시작되어야 합니다. 규칙적인 진통(5분 간격)이나 양수 파수가 시작되면 병원에 내원합니다.출산 예정일 약 1~2일 전까지도 진통의 기미가 없을 시..
2025. 8. 26.
2025년 9~10개월차 임산부가 무조건 알아야 할 것 (33~40주)
요약임신 9~10개월은 출산 직전 단계로, 엄마와 아기가 함께 마지막 준비를 하는 시기입니다.산모는 체중 증가와 호흡 곤란, 빈뇨, 손발 저림 등 불편감이 극대화되면서 예민한 상태가 되며, 아기는 폐와 신경계가 완전히 발달해 세상 밖으로 나올 준비를 합니다.이 시기에는 주 1회 정기 검진이 필요하며, 막달검사(GBS, NST), 자궁경부 검사, 양수·태동 체크 등 출산 직결 검사들이 이어집니다.또한 출산 가방, 산후조리, 육아 용품을 최종적으로 점검해야 하는 중요한 시기입니다.이번 글에서는 33~40주 임산부가 꼭 알아야 할 검사 일정, 신체 변화 관리법, 태아 발달, 출산 준비물, 주의사항을 정리했습니다.9~10개월차 임산부 검사 일정과 지원 혜택33~35주 (9개월 초반)정기 진료 주기 : 2주 간격..
2025. 8. 26.
2025년 7~8개월차 임산부가 무조건 알아야 할 것 (25~32주)
임신 7~8개월은 흔히 ‘후기’의 시작으로 불리며, 아기의 체중이 급격히 늘어나고 산모 역시 신체적 부담이 커지는 시기입니다.호흡 곤란, 부종, 소화 장애가 심해질 수 있으며, 조산 위험도 높아집니다. 이 시기에는 임신성 당뇨 검사, 정밀 혈액검사, 태동 검사 등이 이어지며, 출산을 대비한 생활 준비와 산후조리원 계약이 마무리되어야 합니다.이번 글에서는 7~8개월차 임산부가 꼭 알아야 할 지원 제도, 주요 검사 일정, 신체 변화와 관리법, 태아 발달, 출산 준비물, 주의사항까지 단계별로 정리했습니다.7~8개월차 임산부 지원 혜택과 검사 일정임신성 당뇨 검사 (24~28주)→ 공복 혈당과 포도당 부하검사(GTT)를 통해 당뇨 여부 확인.→ 임신성 당뇨가 생기면 아기가 거대아로 자랄 수 있어 자연분만이 어렵..
2025. 8. 25.